우분투 리눅스 특정 ip주소 차단하기 (iptables)

route로 공격시도를 하는 ip를 임시 차단을 하여도 시간이 지나서 다시 공격을 시도하는 경우가 꽤 자주 있다.

이러한 상황에는 iptables를 이용하여 차단하면 직접 해제하기 전까지 영구적으로 차단 할 수 있다.

# iptables -L // 차단 리스트 출력

# iptables -A INPUT -s xxx.xxx.xxx.xxx -j DROP // ip 차단하기

# iptables -A INPUT -s xxx.xxx.xxx.xxx -j ACCEPT // ip 차단 해제

# iptables -F // 전체 차단 해제

iptables는 route 명령어와는 다르게 즉시 적용이 되지 않고 서비스를 재시작 하여만 차단이 적용됨으로 차단 후 서비스를 반드시 재시작 해야한다.

# services iptables restart

그 다음에 iptables -l 를 치면 제대로 적용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1 : 적용 완료 사진

[Ubuntu 22.04] https ssl 인증서 갱신하기

https로 웹 서버를 운영을 하면 몇 개월 마다 인증서를 갱신해야 한다.

유효기간이 지나도록 인증서를 갱신하지 않으면 보안에도 좋지 않을 분더러 구글 등 검색 사이트에 본인의 사이트가 노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만료되기 전에 인증서를 갱신하는 것이 좋다

인증서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인증서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로 https를 구축한 경우는 대부분이 /etc/letsencrypt에 인증서가 존재한다.

해당 위치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sudo certbot renew # 인증서가 만료 되었을때
$ sudo certbot certonly --force-renew -d [기존 인증서 도메인]  # 인증서가 만료되기 전 갱신할 때

명령어를 입력하면 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뜬다.

필자는 아파치 서버를 운영 중이여서 1번을 입력하였다. 각자 서버에 맞는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명령어 실행이 끝났으면 웹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재시작 후 웹에 접속해보면 인증서가 갱신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우분투 리눅스 특정 ip주소 임시 차단하기 (route)

2023년 12월 31일 업데이트 (틀린 내용이 있어서 수정하였습니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종종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무차별 대입 공격 시도가 들어온다

공격이 들어온 ip의 개수가 작은 경우에는 route 명령어를 이용하여 임시로 차단할 수 있다
// 영구적으로 차단을 할 경우에는 iptables 명령어 이용


// ip 차단
$ sudo route add -host (ip,도메인) reject

// 차단 해제
$ sudo route del -host (ip,도메인) reject

// 차단리스트 확인(플래그가 !H 인 경우 차단된 ip)
$ route

위 방법으로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다.

wget 명령어 사용법 가이드

wget은 Linux 및 Unix 운영 체제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다

wget 명령어는 URL을 사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웹 사이트의 전체 복사본을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은 기본적인 wget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 wget [options] [URL]

위 명령어에서 options은 wget에서 사용 가능한 옵션을 의미하고, URL은 다운로드할 파일의 URL을 의미한다.

아래는 몇 가지 유용한 wget 옵션이다

-O : 다운로드 한 파일의 이름을 지정
-q : 다운로드 진행 중에 로그를 미출력
-N : 로컬 파일보다 원본 파일이 새로운 경우에만 파일을 다운로드
-c : 이전 다운로드에서 실패한 경우 다운로드를 이어서 시작
-p : 지정한 URL의 모든 페이지를 다운로드
-b : 백그라운드에서 다운로드
-t : 다운로드를 시도하는 최대 횟수를 지정
-w : 재시도 사이의 대기 시간을 지정

wget 활동법

wget으로 파일이 아닌 웹 페이지를 html 로 저장할수도 있다.

# wget --recursive --no-clobber --page-requisites --html-extension --convert-links --restrict-file-names=windows --domains example.com --no-parent http://125.244.210.233

wget 명령어로 html 저장하면 웹브라우저에서 ctrl + s 로 저장한 값보다 더욱 깔끔하게 저장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