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글은 회사에서 정보통신 담당자가 최초 설치나 장애 발생시 조치하는 방법에 다룹니다.
가정용 전화에서 따라하실 경우 오히려 설정이 꼬여 문제 해결이 어려워지니 가정에서 위 문자가 나오는 경우는 통신사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전화기 뒷면에 직통 번호 있습니다)



1. 좌측 상단에 있는 메뉴/보류 버튼을 눌러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전화기 설정메뉴로 진입한다.
만약 비밀번호를 설정한 기억이 없다면 초기 비밀번호인 0000을 입력하면 설정 메뉴로 진입이 가능하다.



2.숫자키패드에서 4->1->1을 순서대로 누른다.



3. 전화기에 부여 할 IP 주소를 적는다.
만약 ip주소 칸에 다른 주소가 적혀있을 경우 착신전환 버튼을 누르면 전체 삭제가 가능하며, ● 은 키패드 * 을 누르면 입력이 가능하다. 서브넷마스크, DNS 주소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한다.




4. 전화기에서 사용할 전화번호와 IP전화교환기의 ID와 PW를 입력한다.
표시이름은 마음대로 정해도 상관은 없으나 관리의 편의성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메뉴/보류 버튼을 누르면 숫자,영어,한글로 전환이 가능하다
5. 모든 설정이 끝나고 메뉴로 나오게 되면 수화기를 들었다 내린다.
보통 80%는 여기서 문제가 해결되며 바로 사용하면 된다.
위 설정을 완료했음에도 수화기를 들었다 내렸는데도 계속 “등록되지 않았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오는 경우
이 경우는 인터넷 전화기에 전화서버가 등록이 되어있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다.




1.메뉴/보류버튼 -> (키패드) 4 -> 3 -> 2 -> 관리자 비밀번호 입력
관리자 비밀번호를 따로 설정한 기억이 없다면 9999를 입력한다.





2. 호처리 등록서버 , 호처리 서버 등등 6개 정도 목록이 있을텐데 모두 다 똑같이 설정하면 된다.
서버 주소에는 전화교환기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voip 포트는 대부분 5060임으로 5060을 입력한다.
서버주소 2와 포트는 보조/예비 교환기 서버가 있으면 해당 서버의 주소를 입력하면 되고 없을 경우에는 0.0.0.0 , 5060을 입력한다.
6개 모두 설정을 변경해준 후 전화기를 재시작 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ip450s 정상작동 모습을 첨부하며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