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따로 포스팅을 하기에는 앞에 있는 문제들의 난이도가 낮고 분량이 안나올 것 같아서, basic 카테고리를 전부 묶어서 포스팅 하기로 했다.
1. 레벨 1

ctrl + u 를 눌러 소스보기를 보면 <!– the first few levels are extremely easy: password is 12cf7f52 –> 주석으로 플래그가 적혀있다. 3초 만에 풀수 있는 문제였다.
2. 레벨 2

처음에는 무슨 문제지? 라고 고민을 하고 우연히 전송버튼을 눌렀는데 그대로 문제가 클리어 되었다;;;;
문제 설명을 보니 필요지식이 “센스”라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상식 밖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 문제 같다.
3. 레벨 3

ctrl + u로 소스를 보던 중 이상한 코드를 발견했다.

해당 주소로 들어가니 flag가 나왔다!

4. 레벨 4

sam에게 비밀번호 보내기를 눌러보니 초기화된 비밀번호가 전송되었다는 창이 떴다.

뭔가 쎄한 느낌이 들어서 소스를 봤는데….

저부분을 f12 개발자 도구로 회원가입 할때 넣었던 이메일 주소로 바꾼다음 초기화 버튼을 누르니..

회원가입 할때 사용한 이메일로 flag값이 전송되었다…

5. 레벨 5

???? 레벨 4와 레벨 5 문제 풀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똑같이 f12로 이메일을 수정하니 메일로 플래그가 발송되었다.

6. 레벨 6

빈칸에 특정 문자를 넣으면 암호화 된 결과를 출력해주는 것 같다. 어떤식으로 암호화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서 0을 20개 넣었으나 에러가 나서 최대 길이인 14자리만 넣어보기로 했다.

뒤로 갈수록 키값이 +1씩 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다른 문자형태도 테스트 해보았다.


직접 코드를 짜는 것 보다 직접 손으로 대입하는 것이 빠를 것 같아서 손으로 풀었다.
2는 그대로 :는 9… 이런식으로 직접 대입하였다.
flag : 2908e434

7. 레벨 7

빈칸에 2023을 넣고 보기 버튼을 누르니 아래와 같은 달력들이 출력되었다.

느낌이 커맨드 인젝션 문제같아서 2023;ls를 입력해보니 flag로 추정되는 파일이 하나 나왔다.

해당 파일명을 복사해서 접속하니 플래그가 출력되었다.

8. 레벨 8

처음에는 7번 문제처럼 커맨드 인젝션 문제인줄 알았으나… 여러번 삽질과 구글링을 한 결과 SSL 인젝션(Server Side Include Injection payload) 취약점으로 풀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SSL 인젝션에 관한 자세한 글은 추후 다른 포스팅으로 깊게 다룰 예정이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입력받은 변수 값을 서버에서 처리할 때 악성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하는 취약점이다.
<!--#exec cmd="ls"--> // 실패
<!--#exec cmd="pwd"--> // 실패
<!--#exec cmd="ls ../"--> // 성공
<!–#exec cmd=””–>를 이용하니 방법이 맞긴하지만 서버의 보안을 위해 실행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안내가 떴다. 구글링을 해보니 미리 정해둔 <!–#exec cmd=”ls ../”–>만 사용이 가능한 것 같았다.
<!–#exec cmd=”ls ../”–> 를 빈칸에 작성하고 링크를 따라가니 파일 리스트가 나왔다.

php 파일명을 복사해서 해당 파일의 주소로 들어가니 flag가 나왔다.

9. 레벨 9

9번 문제도 8번 문제와 풀이과정이 비슷한 SSL 인젝션 문제였다. 8번 문제 빈칸으로 가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하니 문제가 해결 되었다.
<!--#exec cmd="ls ../../9"-->
8번 똑같이 파일리스트가 나오고 php파일명을 복사해서 주소로 들어가니 플래그가 나왔다.

10. 레벨 10

10번 문제는 버튼이라던지 추가 링크라던지 문제를 풀만한 요소가 보이지 않아서 잠시 멘붕 했었다.
구글링을 한 결과 쿠키값을 바꾸면 되는 간단한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No로 되어있는 쿠키값을 yes로 변경한 다음 제출버튼을 클릭하니 문제가 풀렸다.
11. 레벨 11

basic 11번 문제 페이지는 답을 제출할만한 칸도 보이지 않고 딱 저 한문장만 나온다.
처음에는 버그인줄 알고 여러번 새로고침을 해보았는데, 새로고침 할때마다 노래 제목이 바뀌는 것을 발견하였다.
나온 노래들을 구글링해보니 엘튼 존이라는 가수가 부른 노래였다.
다음부터는 어떤식으로 문제를 풀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 구글링을 진행해본 결과,
문제 페이지 주소 뒤에 엘튼 존의 첫 글자인 e를 입력하면 폴더가 나온는 사실을 알았다.

해당 폴더들 쭉쭉 타고 들어가면 어느순간 부터 폴더가 나오지 않는다.

.htaccess 파일을 확인하면 숨겨진 폴더를 확인 할 수 있다.

DaAnswer폴더가 숨겨져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aAnswer 폴더로 접속하니 아래와 같은 문구가 나왔다.

뭔가 더 열심히? 더 세게? 찾아보라는 뜻의 영어 문장이 출력되었다.
무슨 의도인지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flag가 simple이라는 것 같았고 답을 제출하는 것도 근처에 있다는 것 같았다.
https://www.hackthissite.org/missions/basic/11/index.html이던 문제주소를 https://www.hackthissite.org/missions/basic/11/index.php로 바꾸니 답을 제출 할 수 있는 칸이 나왔고 앞에서 나온 simple를 입력하니 문제가 클리어 되었다!

12. 총평/후기
5번까지는 한 문제 푸는데 길어야 10분 걸려서 11문제 전부다 푸는데 2~3시간이면 충분하겠다 만만하게 보고 주말 아침 10시부터 시작을 했는데 점점 난이도가 올라가서 오후 11시가 되서야 끝났습니다…
6번 문제때 30분 넘게 걸리더니 번호가 올라갈수록 난이도가 사채 복리급으로 올라가서 생각보다 더 오래 걸린 것 같습니다.
그리고 2번문제와 11번 문제는 단순히 해킹만 하는게 아니라 다른방향으로 생각하면서 풀어야하는 문제라 시간이 오래걸렸지만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